FK 추카리치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K 추카리치키는 1926년 창단된 세르비아의 축구 클럽이다. 2011년 파산 이후 세르비아 기업에 인수되어 민영화되었으며, 2015년 세르비아 컵 우승을 차지했다.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여러 차례 3위를 기록했으며, UEFA 유로파리그와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등 유럽 클럽 대항전에 참가했다. 홈 구장은 추카리치키 스타디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구단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를 연고로 1945년 창단되어 FK 파르티잔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 유고슬라비아 리그와 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1990-91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와 1991년 인터콘티넨털컵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며, 최근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7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 있다. -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구단 - FK 파르티잔
FK 파르티잔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산하에서 창단되어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리그에서 총 27회 우승하고 16회의 컵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유러피언컵 결승 진출 및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 진출 기록을 가진 세르비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 1926년 설립된 축구단 - SSC 나폴리
SSC 나폴리는 1904년 창단된 이탈리아 프로 축구 클럽으로, 디에고 마라도나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며, 파산 위기를 극복하고 2022-23 시즌 세리에 A 우승을 통해 과거의 영광을 재현했고 현재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26년 설립된 축구단 - 레알 오비에도
레알 오비에도는 1926년에 창단된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 한때 라 리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재정난으로 하위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으며 현재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활동한다.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단 - GNK 디나모 자그레브
GNK 디나모 자그레브는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며 크로아티아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이며, 1966-67 시즌에는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통해 유고슬라비아 클럽 최초로 유럽대항전 우승을 달성한 명문 클럽이다.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단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를 연고로 1945년 창단되어 FK 파르티잔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 유고슬라비아 리그와 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1990-91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와 1991년 인터콘티넨털컵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며, 최근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7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 있다.
FK 추카리치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Fudbalski klub Čukarički |
창단 | 1926년 7월 4일 (Čukarički SK로 창단) |
별칭 | "Čuka" (추카) "Brđani" (브르자니, 고지인) "Belo-crni" (벨로-츠르니, 흰색-검은색) |
홈구장 | 추카리치키 스타디움 |
수용 인원 | 4,070명 |
웹사이트 | FK 추카리치키 공식 웹사이트 |
리그 |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
현재 시즌 | |
시즌 | 2023–24 시즌 |
순위 |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16개 팀 중 6위 |
다음 시즌 | 2024–25 FK Čukarički season |
클럽 정보 | |
회장 | 드라간 오브라도비치 |
감독 | 마르코 사비치 |
2. 역사
FK 추카리치키는 1926년 7월 4일 베오그라드 추카리차 지역에서 '''추카리치키 스포츠 클럽'''(Čukarički sportski klub|추카리치키 스포츠 클럽sh)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1] 클럽의 상징색은 흑백이며, 초대 회장은 세르비아 최초의 비행기 조종사인 밀로시 일리치가 맡았다.[15]
초창기에는 아마추어 클럽으로 시작하여 베오그라드 지역 리그에서 활동했다.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성장하여 상위 리그로 승격했고,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에는 2부 리그까지 진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왕국 침공으로 인해 클럽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전쟁 중에도 축구 경기는 계속되었고, ČSK는 1942-43 시즌 세르비아 리그에서 4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 후 클럽은 한동안 활동을 중단했다가 1948년에 FK 추카리치키라는 이름으로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1][5]
전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FK 추카리치키는 하부 리그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성장했다. 1970년대에는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까지 승격했지만, 1부 리그 승격에는 실패했다.[1]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에는 1부 리그와 2부 리그를 오가며 활동했다. 1996년과 1997년에는 UEFA 인터토토 컵에 참가하기도 했다.
2000년대 초반, 클럽은 심각한 재정난에 빠졌고, 2005년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1] 그러나 2007년, 세르비아의 ''Stankom''이라는 회사가 클럽을 후원하면서 재정 상황이 개선되었고, 다시 세르비아 수페르리가로 복귀할 수 있었다.
2010-11 시즌 최하위로 다시 강등되었고, 2011년에는 파산 직전까지 몰렸으나, 같은 해 세르비아 기업 ADOC에 인수되었다.[15][16][17] 이는 세르비아 최초의 프로 축구 클럽 민영화 사례였다.[1][2][3]
ADOC의 인수 이후 FK 추카리치키는 빠르게 성장했다. 2013-14 시즌에는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5위를 기록하며 UEFA 유로파리그 2014-15 진출권을 획득했고,[18][19] 2015년에는 세르비아 컵에서 우승하며 창단 89년 만에 첫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20]
2. 1. 초창기 (1926–1942)
사바강 우안에 위치한 베오그라드 자치구의 노동자 계급 지역인 추카리차에서 FK 추카리치키가 탄생했다.[1] 1926년 7월 4일 '마이단'이라는 식당에서 열린 회의에서 ''ČSK''–''추카리치키 스포츠 클럽''이라는 공식 명칭으로 결성되었고, 클럽 색상은 흑백으로 결정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 초대 회장은 밀로쉬 일리치로, 1급 세르비아 공군 조종사이자 유고슬라비아 왕립 공군 예비역이었다.[1] 클럽의 첫 선수들은 아마추어였으며, 경기장을 정리하고, 자체 유니폼과 그물을 직접 만들었다.ČSK는 베오그라드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에서 시작했지만, 1928년 2부 리그로 승격하여 수 시즌 동안 머물렀다.[5] 1931-32 시즌에 챔피언이 되었고, 다음 시즌부터 벨그라드 B-리그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1935년에 리그에 진출했다.[5] 이로써 클럽은 창단 10주년을 챔피언십 성공으로 기념했다. 이 시기 클럽의 핵심 인물은 스트라이커 알렉산다르 페트로비치(피카바츠)였다.[5] 1932년 FK 팔릴루라크 베오그라드에서 이적하여 1936년 SK 유고슬라비아로 이적할 때까지 ČSK에서 뛰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서 유고슬라비아 왕국 최고의 드리블러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5]
1936년 ČSK는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 중 하나였던 베오그라드 1부 A-리그에 진입했지만, 2년 만에 강등되었다.[5] 선수단 세대 교체가 원인이었지만, 1년 만에 다시 돌아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5] 그러나 그 시즌에 ''FK 이스트라''와 합병되었는데, 이는 운영 위원회와 선수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5] 이로 인해 지역 인기가 떨어졌고, 대다수 선수들이 인근 클럽인 ''바노바츠'', ''마키시'', ''셰체라나츠''로 이적했다.[5] 이는 클럽의 정체성 위기를 초래했고, 1942년까지 어떤 리그에서도 경쟁하지 못했다.[5]
2. 2.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42–1944)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1941년 4월 추축국의 침공을 받아 분할되었다. 세르비아 일부는 크로아티아 독립국, 헝가리 왕국으로 넘어갔고, 나치 독일의 행정 구역이 되었으며,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된 베오그라드도 포함되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ČSK를 포함한 일부 클럽은 축구를 할 수 있었다. 침공 이후, 클럽은 6년간의 활동 중단을 마치고 1942년에 성공적으로 대회에 복귀하여 제1 베오그라드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그 결과 다음 시즌에는 전쟁 기간 동안 최고 국가 리그였던 세르비아 리그에서 경기를 치렀다.[6]1942–43 시즌에 클럽은 4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예딘스트보 베오그라드나 BASK와 같은 여러 강팀보다 앞선 놀라운 성과였다.[6]
그 시기에는 ''Letnji Pehar''(여름 트로피)라는 인기 있는 국내 토너먼트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BSK, SK 1903, 오빌리치 베오그라드와 같은 최고의 클럽들과 ČSK도 참가했다. 클럽은 8강에서 ''SK 바노바츠''를 꺾었지만(2–1, 0–1), 준결승에서 SK 1903에게 패했다(0–2, 0–2). 1943–44 베오그라드 제1 리그 시즌은 10개 클럽으로 구성되었지만, 8라운드 후 중단되었고, ČSK는 6위를 기록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클럽은 원래 이름으로 활동하지 못했고, 1948년에야 현재 Čukarički 스포츠 협회의 일부인 FK 추카리치키로 이름을 되찾았다.[1][5]
2. 3. 전후 재건과 성장 (1944–2003)
1948년, 새롭게 형성된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리그 시스템의 6부 리그였던 베오그라드 2부 리그에서 4위를 기록했다. 1950-51 시즌에는 개편된 선수단으로 3위를 기록하여 베오그라드 1부 리그에 진출했고, 다시 3위를 기록하여 1953-54 베오그라드 포드사베즈나 리그(전국 4부 리그)로 승격, 그곳에서도 3위를 기록했다. 1954-55 세르비아 리그(3부 리그)로 승격했다.[1]1955년 여름, 클럽은 시즌 전반기를 최하위로 마쳤지만, 코치 및 클럽 운영 위원회의 변화로 반등하여 시즌을 8위로 마감했다. 이로 인해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 진출 플레이오프에 참가했지만, 진출에는 실패했다. 1956년은 많은 핵심 선수들이 은퇴하면서 쇠퇴가 시작된 해였다.[1]
이후 클럽은 베오그라드 리그에서 꾸준히 활동했다. 10년 후인 1966-67 시즌에는 2부 베오그라드 리그에서 1위를 차지하고 같은 해 베오그라드 컵에서 우승하면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세르비아 리그로 승격되었고, 그곳에서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했다. 1971-72 시즌 챔피언으로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 승격을 위해 경쟁했다. 추카리치키는 몇 년 동안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에 머물렀지만,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로의 승격에는 성공하지 못했다.[1]
1990년대 초, 클럽은 다시 3부 리그에서 활동했고,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2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1994-95 시즌에 클럽은 역사상 처음으로 1부 리그로 승격되었고, 1998년까지 1부 리그에서 뛰었다. 1995년 유고슬라비아 컵에서 추카리치키는 8강에 진출했고, UEFA 인터토토 컵 1996년과 1997년에도 참가했다. 이 기간 동안 가장 큰 성공은 1999-00 시즌에 거두었는데, 당시 21개 팀이 참가한 1부 리그에서 6위를 기록했다. 클럽은 2003년까지 1부 리그에 잔류했다.[1]
2. 4. 민영화와 도약 (2003–현재)
2000년대 초반, 추카리치키는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2003년 1부 리그에서 강등되었고, 2004년 서부 그룹 챔피언으로 승격했지만 2005년에 다시 강등되었다. 이 시기 세르비아 회사 ''Stankom''이 주요 스폰서이자 자금 제공자가 되면서 클럽은 ''추카리치키 스탄콤''(Čukarički Stankom)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Stankom의 지원으로 클럽은 안정화되었고, 조직 개선, 경기장 수용 인원 확대(7,000명), 재정 상황 개선 등을 이루어냈다. 2007년, 추카리치키는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 복귀했다.2007년부터 2008년까지 드라고사브 스테파노비치 감독이 팀을 이끌었으나, 2008-09 시즌 7연패를 기록하며 최하위로 떨어져 해임되었다. 이후 데얀 쥬르제비치 감독 아래에서 리그 9위를 기록하며 잔류했다. 2009-10 시즌에는 13위로 간신히 강등을 면했지만, 2010-11 시즌에는 30경기에서 단 1승, 5점만을 얻어 최하위로 세르비아 퍼스트 리그로 강등되었다.[1]
2부 리그에서도 어려움은 계속되었다. 2010-11 시즌에는 바나트 즈레냐닌, 라드니치키 솜보르와 승점 동률을 이루었으나, 세 팀 간의 전적 비교로 인해 라드니치키 솜보르가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클럽은 파산 직전의 심각한 재정난에 놓였으나, 2011년 약국, 진단, 건설 산업 분야의 회사인 ADOC가 추카리치키를 인수하면서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는 세르비아 최초의 프로 축구 클럽 민영화 사례였으며, 남동 유럽에서도 드문 사례였다.[1][2][3]
ADOC의 인수로 클럽은 재정, 조직, 인프라, 선수단 등 모든 면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2][3] 2012-13 시즌, 2부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며 1부 리그로 복귀했고, 2013-14 시즌에는 리그 5위를 기록하는 돌풍을 일으켰다. 비록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권은 얻지 못했지만, 우승팀 FK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UEFA 클럽 라이선싱 및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 위반으로 출전 자격을 박탈당하면서 UEFA 유로파리그 2014-15 진출권을 획득했다.[18][19] 이는 UEFA 인터토토컵 1997 이후 첫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이었다.
2015년, 세르비아 컵 결승에서 승리하며 창단 89년 만에 첫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20]
3. 경기장
홈구장은 1969년에 개장한 추카리치키 스타디움(바노보 브르두 스타디움)이며, 4,070석 규모의 전 좌석 경기장이다.[7]
4. 서포터
서포터 그룹은 '브르자니 레볼트(Brđani Revolt)'로 알려져 있으며, 1991년에 공식 팬클럽이 결성되었다. 2명의 팬 사망 이후 2005년에 비공식적으로 해산되었지만, 현재까지 소규모로 활동하고 있다. 이 이름은 클럽 사무실과 경기장이 위치한 바노보 브르도 지역에서 유래되었다.
5. 역대 주요 성적
FK 추카리치키는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3위를 5번 (2014-15, 2015-16, 2020-21, 2021-22, 2022-23) 차지했고, 세르비아 컵에서는 1번의 우승(2014-15)과 1번의 준우승(2022-23)을 기록했다. 또한 UEFA 인터토토컵,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등 유럽 대항전에도 여러 차례 참가했다.
5. 1. 국내 대회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 - | - | 2014-15, 2015-16, 2020-21, 2021-22, 2022-23 |
세르비아 컵 | 2014-15 | 2022-23 | - |
시즌 | 디비전 | 세르비아 컵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2012-13 | 퍼스트 리그 | 34 | 19 | 10 | 5 | 52 | 26 | 67 | 2위 | 16강 |
2013-14 | 수페르리가 | 30 | 12 | 8 | 10 | 30 | 31 | 44 | 5위 | 2회전 탈락 |
2014-15 | 수페르리가 | 30 | 16 | 9 | 5 | 48 | 24 | 57 | 3위 | 우승 |
2015-16 | 수페르리가 | 30 | 15 | 8 | 7 | 37 | 22 | 53 | 3위 | 2회전 탈락 |
2016-17 | 수페르리가 | 37 | 15 | 7 | 15 | 54 | 49 | 32 | 9위 | 준결승 탈락 |
2017-18 | 수페르리가 | 37 | 16 | 9 | 12 | 54 | 44 | 32 | 6위 | 8강 탈락 |
2018-19 | 수페르리가 | 37 | 18 | 12 | 7 | 63 | 36 | 39 | 4위 | 16강 |
2019-20 | 수페르리가 | 30 | 15 | 6 | 9 | 42 | 36 | 51 | 6위 | 준결승 탈락 |
2020-21 | 수페르리가 | 38 | 22 | 8 | 8 | 69 | 34 | 74 | 3위 | 16강 |
2021-22 | 수페르리가 | 37 | 15 | 15 | 7 | 54 | 34 | 60 | 3위 | 32강 |
5. 2. 유럽 대항전
FK 추카리치키는 1996-97 시즌부터 UEFA 인터토토컵,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등 다양한 유럽 대항전에 참가했다.대회 | 시즌 | 라운드 | 상대팀 | 홈 | 원정 | 합계 | 결과 |
---|---|---|---|---|---|---|---|
UEFA 인터토토컵 | 1996–97 | 9조 |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스파르타크 트르나바sk | 0–3 | 5위 | ||
토르페도 리가|다우가바lv | 1–3 | ||||||
카를스루에 SC|카를스루에de | 0–3 | ||||||
FC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ro | 1–2 | ||||||
UEFA 인터토토컵 | 1997–98 | 10조 | FC 흐로닝언|흐로닝언nl | 0–1 | 3위 | ||
ACF 글로리아 비스트리차|글로리아 비스트리차ro | 3–2 | ||||||
몽펠리에 HSC|몽펠리에프랑스어 | 1–3 | ||||||
FC 스파르타크 바르나|스파르타크 바르나bg | 3–0 | ||||||
UEFA 유로파리그 | 2014–15 | 1차 예선 | UE 산트 훌리아|산트 훌리아영어 | 4-0 | 0-0 | 4-0 | 진출 |
2014–15 | 2차 예선 | SV 그뢰디히|그뢰디히de | 0-4 | 2-1 | 2-5 | 탈락 | |
UEFA 유로파리그 | 2015–16 | 1차 예선 | NK 돔잘레|돔잘레sl | 0-0 | 1-0 | 1-0 | 진출 |
2015–16 | 2차 예선 | 가발라 SC|가발라az | 1-0 | 0-2 | 1-2 | 탈락 | |
UEFA 유로파리그 | 2016–17 | 1차 예선 | FC 오르다바시|오르다바시kk | 3-0 | 3-3 | 6-3 | 진출 |
2016–17 | 2차 예선 | 비데오톤 FC|비데오톤hu | 1-1 | 0-2 | 1-3 | 탈락 | |
UEFA 유로파리그 | 2019–20 | 1차 예선 | FC 바난츠|바난츠hy | 3-0 | 5-0 | 8-0 | 진출 |
2019–20 | 2차 예선 | 몰데 FK|몰데no | 1-3 | 0-0 | 1-3 | 탈락 |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2021–22 | 2차 예선 | 숨가이트 FK|숨가이트az | 0-0 | 2-0 | 2-0 | 진출 |
2021–22 | 3차 예선 | 함마르비 IF|함마르비sv | 3-1 | 1-5 | 4-6 | 탈락 |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2022–23 | 2차 예선 | 레이싱 FC 유니온 룩셈부르크|레이싱 유니온lb | 4-0 | 4-1 | 8-1 | 진출 |
2022–23 | 3차 예선 | FC 트벤테|트벤테nl | 1-3 | 1-4 | 2-7 | 탈락 | |
UEFA 유로파리그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2023–24 | 플레이오프 | 올림피아코스 FC|올림피아코스el | 0-3 | 1-3 | 1-6 |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조별 리그로 이동 |
2023–24 | F조 | 페렌츠바로시 TC|페렌츠바로시hu | 1-2 | 1-3 | 4위 | ||
ACF 피오렌티나|피오렌티나it | 0-1 | 0-6 | |||||
K.R.C. 헹크|헹크nl | 0-2 | 0-2 |
6. 선수
FK 추카리치키의 역대 최다 출장 선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순위 | 선수 | 기간 | 출장 경기 수 |
---|---|---|---|
1 | 마르코 도치치 | 2016– | 201 |
2 | 아스미르 카예비치 | 2016–22 | 173 |
3 | 드라골류브 스르니치 | 2012–17 | 169 |
4 | 이고르 마티치 | 2012–17 | 153 |
5 | 페타르 보이치 | 2014–19 | 149 |
6 | 밀라딘 스테바노비치 | 2018– | 143 |
7 | 스테판 코바치 | 2019– | 142 |
8 | 스테판 샤피치 | 2016–22 | 137 |
9 | 필리프 스토이코비치 | 2013–16 | 119 |
10 | 네마냐 스테바노비치 | 2012–16; 2018–19 | 117 |
6. 1. 선수 명단
2024년 12월 6일 기준 FK 추카리치키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9][10]등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
1 | GK | 니콜라 미르코비치 |
2 | DF | 빅토르 로간 |
3 | DF | 하마디 디오프 (샬럿 FC에서 임대) |
5 | MF | 마르코 도치치 (주장) |
6 | DF | 밀라딘 스테바노비치 |
7 | MF | 라자르 투페그지치 |
8 | MF | 네마냐 밀로예비치 |
9 | FW | 슬로보단 테디치 |
10 | MF | 조르제 이바노비치 |
11 | MF | 고드스윌 바제 |
12 | GK | 라자르 칼리차닌 |
14 | MF | 삼부 시소코 |
15 | DF | 루카 수보티치 |
18 | DF | 부카신 요바노비치 |
21 | MF | 마리노스 치오니스 |
22 | MF | 미타르 에르젤라시 |
23 | MF | 안드레이 바차닌 |
24 | DF | 니콜라 스탄코비치 |
27 | DF | 밀로시 츠베트코비치 |
29 | DF | 라자르 스토야노비치 |
30 | DF | 보진 세라피모비치 |
33 | MF | 안드레이 수보티치 |
42 | MF | 엠마누엘 지그바 (아크라 라이온스에서 임대) |
44 | DF | 구스만 코루호 |
47 | MF | 보이차 니크체비치 |
49 | FW | 마르코 아르소비치 |
50 | FW | 밀란 파브코프 |
70 | MF | 우로시 카비치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에서 임대) |
81 | GK | 블라단 차라피치 |
90 | MF | 우로시 밀라디노비치 |
91 | FW | 미하일로 츠베트코비치 |
FK 추카리치키에서 임대 선수로 활동중인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선수 이름 | 비고 |
---|---|---|
DF | 하마디 디오프 | 샬럿 FC에서 임대 |
MF | 엠마누엘 지그바 | 아크라 라이온스에서 임대 |
MF | 우로시 카비치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에서 임대 |
6. 2. 역대 주요 선수
FK 추카리치키에서 뛰었던 주요 선수들 중에는 세르비아 국가대표 선수들이 많다.; 세르비아 국가대표 (전신 포함)
- 밀로시 닌코비치: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활동했다.
- 알렉산다르 콜라로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활동했다.
-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
- 알베르트 나지
- 조르제 요바노비치
- 스르잔 미야일로비치
- 조르제 페트로비치
; 기타 국가대표
참조
[1]
웹사이트
Istorijat kluba
http://www.fkcukaric[...]
[2]
뉴스
ČUKARIČKA BAJKA: Od ruševina do jedinog srpskog kluba bez dugovanja
http://www.mozzartsp[...]
Mozzart Sport (Serbian)
2013-06-15
[3]
뉴스
Posle privatizacije Čukarički uz rame prvaku
http://www.politika.[...]
Politika
[4]
웹사이트
Čukarički | History | UEFA Europa League
https://www.uefa.com[...]
[5]
웹사이트
85 godina SD Cukaricki_za CIP
https://web.archive.[...]
2011-10-19
[6]
웹사이트
"Naš Plavi Bukvar"
http://www.ofkbeogra[...]
[7]
웹사이트
Stadion
http://www.fkcukaric[...]
2012-09-30
[8]
웹사이트
Klub
http://www.fkcukaric[...]
2012-09-30
[9]
웹사이트
Igrači
http://fkcukaricki.c[...]
FK Čukarički official website
2024-08-28
[10]
웹사이트
Tim
https://www.superlig[...]
superliga.rs
2024-08-10
[11]
웹사이트
Gol Radosavljevića, Koloni, Arsović i Madžarević starteri
https://fkcukaricki.[...]
fkcukaricki.co.rs
2024-08-07
[12]
웹사이트
Stručni štab
https://fkcukaricki.[...]
2024-05-02
[13]
웹사이트
FK Čukarički
http://www.national-[...]
[14]
웹사이트
Stadion FK Čukarički
http://www.fkcukaric[...]
[15]
웹사이트
istorijat
http://www.fkcukaric[...]
FK Čukarički
2015-04-05
[16]
웹사이트
ČUKARIČKA BAJKA: Od ruševina do jedinog srpskog kluba bez dugovanja
http://www.mozzartsp[...]
Mozzart Sport
2014-07-02
[17]
웹사이트
Posle privatizacije Čukarički uz rame prvaku
http://www.politika.[...]
POLITIKA Online
2014-07-02
[18]
웹사이트
UEFA、ツルベナ・ズベズダのUCL出場権を剥奪
http://jp.uefa.com/u[...]
UEFA.com(日本語版)
2014-07-02
[19]
웹사이트
18チームがUELに初挑戦
http://jp.uefa.com/u[...]
UEFA.com(日本語版)
2014-07-02
[20]
웹사이트
Čukarički make history with Serbian Cup success
http://www.uefa.com/[...]
UEFA.com
2016-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